Skip to content

조회 수 6595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대형교회 담임목사직 대물림의 문제
 
이만열
복상포럼 대표
숙명여대 교수

 
대형교회 담임목사직의 세습문제가 한국 기독교계의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이것은 이 해 초 충현교회에서 담임목사 피습사건과 관련, 세상에 어렴풋이 알려지더니, 최근 같은 강남의 광림교회가 담임목사의 아들을 역시 후임 담임목사로 옹립하는 것을 계기로 여론의 도마 위에 본격적으로 오르게 되었다. 이것이 여론화된 것은, 그 동안 기독교인 개인의 대사회적인 윤리문제를 주로 다루면서, 음란물 간행 등 사회의 비윤리적인 문제를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시정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전개해 온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 대형교회 담임목사직 세습에 관해 그 부당성을 공개적으로 성명하면서부터라고 할 것이다. 지금 막 여론의 날개를 달기 시작한 이 문제는 앞으로 몇몇 기독교 기관에서 공개적인 포럼을 통해 지속적으로 여론화할 추세여서 쉽게 사그러질 것 같지 않다.
 
이같은 대형교회 대물림 현상은 그 동안, 인천 대구 등지의 몇몇 교회에서도 세상에 크게 드러나지 않게 이뤄졌는데, 이번에 여론의 집중적인 포화를 맞으면서 이들 교회들의 이름도 하나 둘씩 거론되고 있다. 이 밖에도 최근 몇몇 대형교회에서는 대물림을 시도하다가 여론의 따가운 눈총 때문에 엉거주춤하거나 다른 형태로 대물림을 꾀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자신이 담임하고 있는 교회를 대물림하는 대신 다른 장소에 교회를 세워 그것을 맡기는 형태 같은 것도 있고, 교회를 대물림하는 대신 자신이 세운 기관을 자식에게 대물림하는 현상도 있다. 한 때 기독교계의 일간신문으로 출발했던 국민일보의 경우도 따지고 보면 그곳에 뭍힌 재산을 대물림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대형교회 세습이나 다를 바가 없다. 요즘말로 대형교회 세습의 변형이다.
 
대형교회 담임목사직의 세습문제가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자 이 문제에 대한 반향이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우선 그 동안 가난과 고난을 대물림해 온 열악한 상태의 교회들을 떠 올릴 수 있다. 경제적으로 어려우니까 모두들 부임하기를 꺼려 자칫하다간 교회의 문을 닫아야 할 형편에 있는 교회를, 그것을 지켜온 선대(先代) 목회자가 후대(後代)에게 거의 강권적으로 교회를 맡도록 한 경우가 여기에 속한다. 이 경우는 담임목사직의 대물림이라는 점에서는 유사성이 있긴 하지만, 부와 명예를 함께 갖고 있는 대형교회의 대물림과는 차원이 전혀 다른 것으로서 논의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문제삼는 것은 고난과 십자가를 물려주는 그런 대물림이 아니라, 오늘날 귀족교회화된 목사직의 자리를 대물림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는 달리 또 논란거리가 되는 것은 대형교회이긴 하지만, 그 자식이 목회자로서 자질이 훌륭하고 유능한 경우도 굳이 비판의 대상이 되어 여론의 도마 위에 올라야 하느냐의 문제다. 이 점과 관련, 어느 대형교회는 아버지와 아들 두분 목회자가 억울해하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아들 목회자가 어릴 때부터 그 아버지 목회자의 경건과 말씀의 훈련을 받았을 뿐 아니라, 신학수업도 제대로 받아 객관적으로 목회지도자로서의 자질을 제대로 쌓았는데도 아버지가 담임하던 교회의 담임목사직을 이어받는다는 그것만으로 비난받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 항의는 평면 그대로 놓고 보면 충분히 일리가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 특히 한국의 대형교회같이 카리스마적이고 위계질서가 분명하게 위치지워진 상황에서, 또 그런 카리스마적인 담임목사가 엄연히 후임목회자를 선정하는 데에 관여할 수 밖에 없거나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 해도 담임목사의 눈치나 재가를 받지 않을 수 없는 의사결정 구도하에서 본다면, 후임목회자 선정이 충분히 객관성을 보장할 수 있는가의 문제는 역시 남는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여기서 담임목사직의 세습이라는 오해를 받지 않고 그 유능하다는 아들을 후임자로 맞는 방법이 없지 않다. 그것은 첫째 현재의 담임목사가 그 교회를 물러난 후, 시간적인 여유를 두고 그 유능하다는 아들을 맞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시간적인 여유란, 물러난 아버지 담임목사가 이제는 그 교회 후임목회자 선정에 영향력을 미칠 수 없는 때를 말한다. 이런 경우는 교회구성원의 자발적인 결의에 의해 그 아들 목회자를 새로 영입하기 때문에 대물림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와질 것이다. 둘째는 현재 여론화되고 있는 대물림문제의 경우가 대부분 아버지가 담임목사로서 그 아들을 부목사로 거느리고 있다가 자기의 담임목사직에 계승시키는 경우인 만큼, 아버지가 정말 아들을 사랑한다면 그 아들을 다른 사역지에서 훈련받도록 하여 충분한 검증을 받게 한 후에 맞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앞서와 같이 선대가 그 기관을 떠나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구성원의 자의적 결의에 의한 절차를 밟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방법론적인 대안이 모색되고 있긴 하지만, 현재 표면화되고 있는 대형교회 담임목사직 세습은 한국교회가 자본주의적 천박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교회를 세속적인 경영의 대상으로 삼아 자신도 모르게 기독교적인 가치를 세속적인 것으로 점차 바꿔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거기에는 십자가의 고난 없이도 부활의 영광이 가능하다는 거짓 가르침과, 기독교 신앙은 건강과 부와 명예를 담보해 준다는 왜곡된 기독교상이 도사리고 있다. 거기에서는 점차 십자가는 사라지고 바알과 아세라가 약속해주는 세계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대형교회 담임목사 대물림은 목사직을 구약의 제사장직으로 착각케 하여 구약적 중세적 교회상으로 되돌리려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런 현상들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배당을 성전으로 명명하는 구약적 발상은 우려스러울 정도다. 담임목사세습은 내가 개척한 교회는 내 교회라고 생각하는 왜곡된 주인의식, 여기에는 성도들의 땀과 수고가 충분히 인정되지 않는 독선이 들어있다. 이 세습관행에는 담임목사가 성장의 주역이라는 공로사상이 들어 있고 공로에 대한 보답의 의미마저 들어있어서 끝까지 '무익한 종'이라고 고백해야 하는 기독교적 겸손은 찾아 볼 수 없다.
 
여기서 우리는 한국 기독교계에 왜 이런 대물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그것은 첫째 지도권 교체에 대한 난점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 교회는 진보․보수를 막론하고 1대 목회자가 물러난 후에 갈등과 불안이 야기되었다. 대형교회에 비중이 크며 1대 목회자가 거물급일수록 지도자 교체에 따른 불안정이 오래 갔고 후유증 또한 심했다. 후임 목회자는 전임목회자의 그늘에서 헤어나지 못했고, 자신의 소신에 따른 목회는 곧 그 자리를 물러나는 것으로 결말짓고 말았다. 가장 먼저 영락교회가 오랜동안 한경직 목사 후임의 불안정성이 계속되어 그가 돌아가시기까지 세 번 이상의 목회자 교체가 있었다. 충현교회도 김창인 원로목사 아래서 세 번째 후임목회자로 그의 아들이 들어와 있지만 안정성이 담보된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 진보적인 교회의 대표격인 경동교회도 지금의 목회자가 부임하기까지 몇번의 교체가 있었는데, 원로목회자의 입김 때문으로 이해하고 있다. 한국 교회는 이 문제에 관한 한 진보․보수․중도 할 것 없이 거의 같은 모습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현상을 목격한 한국 대형교회의 1대 목회자들이 이러한 지도권 교체에 대한 대안으로 고안해낸 것이 자식에게 대물림하는 것이 아니었나 하고 생각된다. 그들의 관찰은 정확했지만 대안은 근시안적이었다.
 
카리스마적인 전임자가 물러나면, 한동안 리더십의 공백현상이 일어나 분란과 시련을 갖다 준 경우는 역사에서 많이 보아 왔다. 그것은 권력이 막강할수록 더 심하게 나타났다. 리더십의 교체를 원만히 하겠다는 취지에서 권력의 혈족간의 대물림 혹은 이익공동체 안의 대물림 현상이 나타났지만, 권력의 교체현상에서 우리는 후진사회와 선진사회를 구분하는 하나의 기준을 발견하기도 했다. 정권교체를 일정한 룰에 의해 갈등없이 진행시키고 있는 서구사회에 비교해 볼 때, 공산당이라는 일종의 이익공동체를 벗어나지 못하는 공산주의권이나 아시아/아프리카권(亞․阿圈)은 좋은 대비가 된다. 이런 경우 각 지역이 갖고 있는 특수성으로 자신들의 혈족간 혹은 이익단체간의 권력이양 현상을 정당화할 수 없다. 리더십 교체에 따른 갈등을 극복하는 방법은 민주적인 후진양성에서 찾아야 했다. 그런 점에서 한국 교회가 그 동안 지도권 교체를 위한 고민과 준비를 얼마나 했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본다. 영락, 충현, 경동 교회의 그러한 갈등을 보면서 총회와 신학교, 개 교회에서 고민하고 준비했다면 목회직의 대물림이라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다. 고민․준비의 방향을 민주적인 지도권 이양에 두지 않고 가장 안이하고 기득권보장의 방향으로 잡은 것이 자식에게 대물림하는 현상으로 나타났다고 본다. 그러나 현재 대물림을 지지하는 목회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아무리 유능한 자식이 그 선대의 재임중에 선대의 후광을 입고 취임했다 하더라도, 카리스마적인 선대가 돌아가고 나면 어떠한 갈등이 제기될 것인지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이것은 지도권 교체를 단행할 당장에는 효과가 있을는지 모르지만, 그 개 교회나 기독교 공동체가 받아야 할 상처는 회복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둘째 이런 대물림이 일어나는 또 하나의 현상은, 많은 분들의 지적과 같이, 대형교회 지도자가 현재 누리고 있는 배타적인 권리에 대한 미련이 이런 현상을 정당화하고 있다. 우리는 지난 번 불법적으로 등장하여 대통령이라는 대권을 손에 쥐고 무상의 군사철권정치를 행사했던 독재자가 퇴임후에 그 권력을 행사하기 위한 법적인 장치를 마련했던 것을 알고 있다. 퇴임한 대통령에게 국정자문위원회 의장의 자리를 주어 후임대통령에게 권한 행사를 하도록 하겠다는 것이었다. 여러 가지 의미가 있었다. 재임중의 권한을 일정하게 유지하겠다는 발상이기도 했고, 재임중의 비리를 드러내지 않도록 하겠다는 염려 때문이기도 했다. 아마 그들도 여건이 주어지면 자기의 아들을 후임의 자리에 앉히고 싶었을 것이다. 그런 현상을 한반도의 북쪽에서 보아왔고 남쪽에서도 비슷한 권력구조가 행사되는 특수한 집단에서 볼 수 있다면 지나친 표현일까 .
 
 
우리는 대형교회 목회직의 대물림 현상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 침묵하고 있던 한국의 기독교회가 그 부당성을 지적하는 재야의 소리가 나타났을 때에 보인 반응에 대해 깊은 우려를 금할 수 없다. 무엇보다 교회의 개혁에 목소리를 돋궈야 할 기독교 언론들이 보인 행태는 가히 통탄을 금할 수 없다. 대부분이 교단기관지로 되어 있는 언론들은 현재의 한국 교회의 구조로 보아 그럴 수밖에 없다 하더라도(그렇다고 그들에게 면죄부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자유로운 비판을 정론으로 내세워야 할 언론들마저 그 동안 침묵했거나 이번에 기윤실에서 성명을 발표했을 때에 보였던 비겁함은 이 시대에 왜 그런 기관들이 언론이라는 이름을 띄고 존재해야 하는가 하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게 했다. 그런 언론들은 자기들이 하지 못한 것을 기윤실이 대신해 주었으면 부끄러워하면서 오히려 개혁에 박차를 가하는 호기로 삼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설이나 칼럼 등 자신들의 목소리를 통해 혹은 교계의 중진들의 목소리를 빌어 반대를 일삼아 왔다. 팔은 안으로 굽게 마련이던가, 가재는 게편이라던가.
 
우리는 이 시대에 대형교회 목회직의 대물림 현상을 지지 혹은 정당화하려는 많은 수의 목회자들이 있음을 알고 있다. 한 여론 조사에 의하면 응답한 목회자의 60%가 지지했다는, 상식적으로는 도저히 믿기지 않는 그런 수가 나왔다는 것을 듣고 있다. 어느 목회자의 지적처럼, 그것은 잘못 낸 통계로 믿고 싶기도 하다. 그러나 모 신문에 난 어느 기독교 단체의 총무가 지지하는 모습이나, 기윤실의 성명을 "기독교 내부의 치부를 드러낸 과오로 여기는 분위기가 역력한" 형편에서는 한국 목회자의 상당수가 이를 정당화․지지 혹은 은근히 그렇게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런 상황의 전개에 대해 어떤 대처를 하는 것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며 한국 교회의 앞날을 위하는 것이 될까.
 
정치계는 물론 경제계도 대물림하는 것이 거부와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 시점에, 교회가 이를 합리화하면서 강행하려는 것은 예언자적 사명과 전도의 길을 가로막는, 부끄럽기 짝이 없는 짓이다. 아마 한국 교회가 쇠락의 길로 빠지게 되면서 나타나는 이 현상은, 이 시점에서 이를 방지하지 못한다면, 한국 교회를 더 병들게 만들어 회복할 수 없는 상태로 몰아갈 것으로 예견된다. 한국 교회는 먼 훗날 우리의 후손들이 이 시대의 이런 현상들을 어떻게 바라 볼 것인지를 예견하면서 이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대물림 현상은 지금 당장 한국 교회 전체를 맥빠지게 만들고, 저 중세기에 보였던 기독교의 타락처럼 개혁이 없이는 더 이상 회생의 길을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한국 기독교에 큰 경종을 울리고 있다.
 
대형교회 목회직의 대물림 현상이 나타나면서 나타나는 한심스런 현상의 하나는 그것을 개교회의 국한된 문제로 축소 혹은 은폐시키려는 자세다. 이것은 개 교회의 문제이니 제발 밖에서 왈가왈부하지 말아달라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과거 삼박자 축복론이 한 교회에서 시작되었지만 한국 교회 전체를 오염․타락시키고 말았다. 지금 한국 교회 전체에서 행해지고 있는 각종 비복음적․비기독교적인 행태도 처음부터 전체 교회가 시작한 것이 아니었다. 대물림 현상도 소수의 교회에서 시작하여 이미 전염병처럼 퍼져 나가 벌써 수십교회에 이른다. 노회 내에 담임목사가 공석일 때 이 교회에는 저 목사의 아들을 천거하고 저 교회에는 이 목사의 아들을 밀어 넣는, 일종의 대물림의 변형적 현상은 이미 교권을 장악한 세계에서 널리 횡행해 온 현상이다. 어찌 대물림 현상이 한 교회의 문제에서 그치고 있단 말인가. 이것은 결코 개교회의 문제가 아니다. 개교회 문제라는 시각에서는 한국 교회에 옴처럼 퍼지고 있는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될 수 없다. 비록 지금은 개교회의 문제같이 보이지만 이것은 한국 교회 전체가 짊어지고 고민해야 할 문제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저녁 기윤실과 복상포럼이 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자 한다. 목회자들이 이러한 안이한 대처로 일관한다면 한국의 평신도들이 일어나야 한다. 정부가 제대로 구실을 못할 때에 시민단체들이 들고 일어났던 것처럼, 이제 한국 기독교회에도 교회지도자들이 이런 문제들에 대해 더 이상 안이하고 그릇된 판단과 대처를 하지 않도록 거교단적이면서 개혁적인 목회자와 평신도가 연대하는 운동이 필요한 때가 되었다.
 
 
출처 : 대형교회 담임목사직 세습문제와 대응방안 - 공동포럼
주최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복음과 상황
일시 : 2000년 9월 5일(화) 오후 7시
장소 : 여전도회관 2층 루이시 기념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세반연에서 브로슈어를 제작했습니다. file 세반연 2013.05.27 59853
24 [미래목회포럼] 종교개혁 495주년을 맞는 한국교회의 5대 개혁과제 세반연 2013.05.08 61384
23 [개혁연대, 기윤실] 왕성교회 교회세습 관련 평양노회에 드리는 우리의 입장 세반연 2013.05.08 64566
22 [개혁연대] 교회 개혁 역행하는 왕성교회 세습 결정 반대한다 세반연 2013.05.08 58612
21 [개혁연대] 감리교의 교회세습금지법 결의를 적극 지지하고 환영합니다 세반연 2013.05.08 59398
20 [교회 2.0] 담임목사직 세습을 개탄하며 제도적 금지를 요구합니다 세반연 2013.05.08 62171
19 [기윤실] 왕성교회 세습 결정에 대한 기윤실 입장 세반연 2013.05.08 61949
18 [기윤실]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세습방지법 통과를 환영한다 세반연 2013.05.08 61624
17 [기윤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의 ‘세습옹호’ 성명서에 대한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의 입장 세반연 2013.05.08 64649
16 [한기총] 후임 담임목사 청빙 세반연 2013.05.08 62863
15 [기독시민사회단체] 광림교회 담임목사직 세습감행에 대한 우리의 입장 세반연 2013.05.08 64032
14 [기윤실] 일부 대형 교회 담임 목사직 세습에 대한 우리의 입장 세반연 2013.05.08 62874
13 담임목사직 세습, 왜 문제인가 세반연 2013.05.08 63697
12 아들이 후임담임자로 선정되는 것에 대한 목회적 고찰 세반연 2013.05.08 63483
11 한국교회는 한국사회의 소금과 빛이어야 한다 세반연 2013.05.08 64353
10 목회자의 세습에 대한 신학적 비판 세반연 2013.05.08 141001
9 아, 한국교회여! 이 땅의 기독청년들이여! 세반연 2013.05.08 62267
8 담임목사직 세습문제와 우리의 대안 세반연 2013.05.08 62030
7 평신도가 바로 서야 교회가 산다 : 담임목사직 세습문제에 즈음하여 세반연 2013.05.08 64241
» 대형교회 담임목사직 대물림의 문제 세반연 2013.05.08 6595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Next ›
/ 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 | 03735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11길 20 CI빌딩 301호 | 전화 02-2068-9489 | 이메일 churchseban@gmail.com
Copyright ⓒ 2013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

Designed by Rorobra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